목록자본주의 (3)
HealthyWealthy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리츠 자산운용의 대표님이시자, 요즘 유튜브에서 굉장한 활약을 하고 계시는 '존 리' 대표님의 자산 운용 철학에 대한 영상을 보고 느낀점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1. 존 리 대표의 과거 투자 원칙 존 리 대표님은 미국 증권사에서 일을 할 때 코리아펀드 운용 당시 삼성화재 및 SK 텔레콤에 주식 투자를 하여 큰 수익을 얻으셨다고 합니다. 그때 당시 삼성화재를 고른 이유는 당시 PER이 1 밖에 안 되는 굉장히 장래가 있는 회사라고 판단하셨다고 합니다. PER이라는 것은 현재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씀드려서 PER이 10이라는 수치는 현재의 주당 순이익이 계속 유지가 될 때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러야 주당 순이익으로 주가만큼의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입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yEjp/btqCqNXr71j/Io70BEK8XinK1UwJJ5YhP0/img.png)
주식 하락장에 대처하는 방법... feat. 분산 투자, 여유 자금 1. 미국 주식의 하락... 그에 따른 코스피, 코스닥 주식 하락의 연쇄 반응 2020년 2월 말은 정말 미국 주식을 투자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정말 지옥과 같은 순간이었습니다. 지난 120년 사이 시장의 변수가 없이 갑자기 하루아침에 엄청난 주식 하락장이 온 경우는 역사적으로 몇 번이 없던 케이스라고 합니다. 아래 도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고점 대비 10% 이상 빠졌을 정도로 급격하게 나스닥 지수가 급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과연 그렇다면 코로나 때문에 나스닥 지수가 떨어졌을까요? 그러면 직격탄을 받은 중국의 경우는 어떨까요? 물론 거의 5~6% 정도 떨어지긴 하였지만, 코로나의 영향이라면 미국의 경우보다 더 영향을 받아야 했다고 ..
요즘 부에 대한 책이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의 책장에만 해도 "부의 추월차선", "머니", "레버리지" 등과 같은 경제/제태크 관련된 책이 많다. 그렇다면 부란 무엇이고, 어떻게 하면 이 무한 경쟁의 자본주의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1. 부란 무엇인가? 단순히 돈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정말 재미없는 답일 것이다. 정말 저명한 한 미래학자는 이렇게 말을 하였다. "앨빈토플러는 '부'를 인간의 욕망을 채워주고 욕구를 해소해주는 그 무엇이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건강, 사랑, 단란한 가족, 서로의 존중 또한 부의 한 형태라고 한다." 다른 책에서는 이렇게 말을 한다. "인간 관계, 건강, 시간이 풍족한 사람 - 부의 추월차선 (엠제이 드마코)" 2.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 ..